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강용노트북
- 콜오브듀티
- 실기시험
- 저렴한노트북
- 실기문제풀이
- 네트워크관리사
- 실기시험예제
- 행정관리사합격하기
- 굿노트
- C언어
- 노트북구매하기
- 프로그래밍
- 총게임
- 행정관리사3급공부
- 가성비노트북
- 네트워크관리사2급
- 네트워크관리사2급실기문제
- 행정관리사
- 행정관리사3급
- C언어배우기
- 노트북추천
- 심플한플래너
-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 코딩
- 노트북추천받기
- 실기문제
- 네트워크관리사2급실기
- 백엔드
- Today
- Total
잡다한 사전
ipTIME NAS 초기 셋팅 본문
NAS란?
Nas는 중앙 집중식 파일 서버라고 정의를 할 수 있지만, 쉽게 설명을 하면 구글 드라이브, 네이브 클라우드와 같은 파일 저장 서버를 개인이 서버를 가지고 저장공간을 변경이 가능한 기기라고 이해를 하면 편합니다.
Nas는 여러 사용자가 Wi-Fi와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TCP/IP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가 가능합니다. 대부분 NAS박스, NAS 장치, NAS 서버라고 부릅니다.
시작하기 전..
이번 장에서 다루는 나스는 ipTIME Nas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며, 추가적으로 시놀로지, 큐냅 나스 세팅 방법도 추가할 계획입니다. 또한 Nas 자체에서 사용가능한 DDNS를 사용하셔도 되지만 외부 접속을 위해서 공유기를 사용한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므로 공유기와 나스, 노트북을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준비물 : 공유기(비밀번호, 연결 IP), 나스(관리자 로그인, 연결 IP), 노트북
1. 내 IP 주소 확인 방법
** 위 방법은 본인에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고 있으시면 좋습니다.
2. NAS IP 주소 확인 방법
** 랜선을 이용하여 공유기와 나스를 연결하여 나스에 인터넷을 연결해준 뒤, 노트북에서 NAS를 연결한 공유기 와이파이를 연결한 뒤에 작업을 시작해 주세요.
* 대부분에 192.168.*.* 으로 되어있으며, 확인 IP를 크롬 주소창에 입력해서 접속해주세요.
** 초기 아이디와 비번 --> ID : admin, PW : admin
현재 창에서 서비스 관리 -> DDNS 설정 으로 이동해주세요.
현재 계정은 관리자만 존재하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할 계정을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까지 DDNS 설정과 사용자 계정을 만들었다면, 본인 컴퓨터에 연결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본 준비는 끝났습니다.
* 포트포워딩, 외부접속 등 보안 설정은 꼭 확인해주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 다음장에서는 컴퓨터에서 나스를 파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